교육목표
학과(부)의 교육목표
- 01한국어와 한국문학에 대한 전문적이고 실용적인 지식을 연구하고 교육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.
- 02한국어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담화 환경에 맞는 의사소통능력을 발휘하고, 언어 수행의 주체로서 언어활용능력을 증진한다.
- 03한국 고전문학의 역사적·문화적 유산과 그 가치를 파악하고, 그것을 계승·발전시켜 현대 문화콘텐츠로 변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.
- 04한국문학과 문화에 대한 비판적 독해를 통해 자신만의 독창성을 기르고 인문학적 상상력을 육성하여 문예 창작 및 문화 생산에 활용한다.
- 05한국어문학과 문화의 세계화 흐름에 부응하여 글로컬 시대에 걸맞은 어문학 능력을 강화한다.
- 0621세기 미디어 환경 변화에 대응하고 한국어문학 분야의 실용화 추세에 부합할 수 있는 미디어 활용능력과 한국어문학 응용력을 기른다.
인재상
불교정신에 입각하여 한국어와 한국문학, 한국문화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함께 이를 위한 다채로운 이론을 비판적으로 교수-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인재를 양성하는 데 목표를 둔다.
- 교양인으로서 올바른 한국어 구사능력을 발휘하여 세계시민으로서 타인과 공감하고 소통할 수 있는 인재
- 한국어문학의 역사적·문화적 유산을 파악하고 계승·발전시켜 새롭게 현재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인재
- 문학과 문화에 대한 냉철한 비판과 자유로운 상상력을 통해 자신만의 문학작품을 창작하고 문화를 생산할 수 있는 인재
- 한국어와 한국문화의 전지구적 확산에 따라 그것들의 세계적 위상을 자리 매김하고 세계인들에게 가르칠 수 있는 인재
- 21세기 미디어 환경에 조응해 새로운 문학과 문화 생산을 선도하고, 전통적인 한국어문학을 유연하게 다변화할 수 있는 인재
진출분야 및 진로 | 전공능력 | 필요 지식 및 기술 |
---|---|---|
창작 | 4. 문예창작능력 | 창의력 |
문장활용능력 | ||
방송영상전문인 자격증 | ||
6. 문화선도능력 | 분석력 | |
기회력 | ||
방송실기지도사 | ||
7. 윤리의식 | 책임 의식 | |
도덕성 함양 | ||
윤리 준수 | ||
연구 | 2. 문제분석능력 | 분석력 |
논리력 | ||
비판력 | ||
3. 문제해결능력 | 사고력 | |
창의력 | ||
문제처리능력 | ||
5. 의사소통능력 | 의사표현력 | |
정보이해력 | ||
KBS한국어능력시험 | ||
출판/편집 | 1. 전공이해능력 | 전문지식이해력 |
사고력 | ||
분석력 | ||
2. 문제분석능력 | 분석력 | |
논리력 | ||
비판력 | ||
5. 의사소통능력 | 의사표현력 | |
정보활용능력 | ||
전자출판기능사 | ||
교육 | 1. 전공이해능력 | 전공지식이해력 |
중등 정교사 2급(국어) | ||
한국어교원 자격증 | ||
5. 의사소통능력 | 의사표현력 | |
정보이해력 | ||
정보활용능력 | ||
7. 윤리의식 | 책임 의식 | |
도덕성 함양 | ||
윤리 준수 | ||
문화 | 4. 문예창작능력 | 창의력 |
창조력 | ||
문장활용능력 | ||
5. 의사소통능력 | 의사표현력 | |
정보이해력 | ||
정보활용능력 | ||
6. 문화선도능력 | 분석력 | |
기획력 | ||
조직력 |